해당 내용은 학습한 내용을 개인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벌써 만 2년차 개발자가 되었다. 운영업무를 맡게되었고 유지보수를 해야하는 업무였다. 기존 서비스에 대해 VOC가 나왔고 서비스 개선을 위해서 코드 수정과 기존 아키텍처 구성에 따라 ACL 요청이 필요했다. ACL 많이 들어보았지만... 어떻게 설정되어있고 어떤 식으로 동작하는지 자세히 몰라서 자신감이 없었다. 3년차인데.. 이것도 모르는게 부끄러운 일 일수 있지만 부족한 만큼 얼른 공부해서 채워야지.. 필요에 의한 공부가 제일 효율적이라고.. 공부해보았다. 기존 서비스 구성도를 보며 어떻게 voc를 처리할지 동료와 고민했다. 특정 서버에서 특정 서버로 통신이 필요했다. 동료 왈 '여기 서버에서 아웃바운드가 막힌건지 인바운드가 막힌건지 확인해봐야겠네..
안녕하세요.JWT(json web token)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JWT란?json web token의 약자로 웹 상에서 정보를 Json 형태로 주고 받기 위해 표준규약에 따라 생성한 암호화된 토큰입니다. 언제 사용되는가?Authorization :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시나리오입니다. 로그인 인증 후 이후 요청에 jwt를 포함하여 요청을 보내면 토큰을 통해 서버가 인증을 확인합니다. 작은 오버헤드와 다른 도메인에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특징이고 SSO(Single Sign On)할 수 있습니다.Information Exchange : 안전하게 정보교환하기 유용합니다. 개인, 공개키를 통해 서명되어 있어 안전합니다. 게다가 서명은 헤더와 payload를 통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변..
CORS(Cross Origin Resources Sharing) cors 발생 상황부터 봅시다 프론트 2명과 백엔드 2명이 같이 프로젝트를 하는 상황입니다. 프론트 서버(react나 vue)와 백엔드 서버(spring)로 나눠 진행하여 서버를 띄웁니다. 프론트(localhost:3000), 백엔드(localhost:8080) 이라고 예를 들어 봅시다. 백엔드에서 api 구현이 마친 뒤 api 문서(swagger)가 나와 프론트에서 요청, 응답 테스트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여기까지 잘 그려지시나요? 이제 프론트에서 브라우저를 통해서 화면을 렌더링하고 백엔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할 것입니다. 이때 원하는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고 개발자 모드로 보면 403 cors 에러가 있을 것 입니다. 프론트 분들은 당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