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오늘은 행위패턴 중 하나인 옵저버패턴에 대해 알아보겠다. 옵저버 패턴은 신문사와 구독자와의 상호작용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신문사에 구독한 구독자는 신문이 발행될때마다 신문사로부터 새로운 신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옵저버 패턴은 한 객체의 상태가 바꾸면 그 객체에 의존하는 다른 객체에게 연락이 가고 자동으로 내용이 갱신되는 방식으로 일대다 의존성을 정의합니다. 구체적인 예시로 실시간 기상청 서비스를 제공해야하는 요구사항이 생겼습니다. 온도와 습도를 입력받으면 온도와 습도를 출력해주는 여러 디스플레이를 개발해야한다. 요구사항 -> 새로운 온도, 습도 등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그 데이터를 활용하는 디스플레이들을 업데이트시켜 출력해야한다. 안좋은 예시 요구사항대로 날씨 정보를 입력받으면 관련 디스플레이들이 업데이..
오늘은 행위패턴 중 하나인 전략패턴에 대해 알아보겠다. Q. 전략패턴이란? Q. 전략패턴을 사용하는 이유? Q. 사용하지 않을때 생길 수 있는 문제들? Q. 위 문제들을 전략패턴을 통해 어떻게 해결하는지? Q. 장단점 1. 전략패턴이란? 전략 패턴은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캡슐화된 로직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런타임 시점에 특정 로직을 선택할 수 있는 형태이다. 이걸 왜 사용할까? 2. 전략패턴을 사용하는 이유? 민수가 도서관을 가는 방법이 걸어서 가는 방법이 있다고 하자. 어느날 민수에게 특별한 능력이 생겨 날아서 갈 수 있게 되었다. 기존에 걸어서 가는 민수의 움직임 방법을 날아서 갈 수 있게 코드를 수정한다면 민수 움직임에 관련된 많은 코드들이 영향을 받는다. 뿐만 아니라 민수가 걸..
CORS(Cross Origin Resources Sharing) cors 발생 상황부터 봅시다 프론트 2명과 백엔드 2명이 같이 프로젝트를 하는 상황입니다. 프론트 서버(react나 vue)와 백엔드 서버(spring)로 나눠 진행하여 서버를 띄웁니다. 프론트(localhost:3000), 백엔드(localhost:8080) 이라고 예를 들어 봅시다. 백엔드에서 api 구현이 마친 뒤 api 문서(swagger)가 나와 프론트에서 요청, 응답 테스트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여기까지 잘 그려지시나요? 이제 프론트에서 브라우저를 통해서 화면을 렌더링하고 백엔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할 것입니다. 이때 원하는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고 개발자 모드로 보면 403 cors 에러가 있을 것 입니다. 프론트 분들은 당황..
키득코딩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7 Page)